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atabase
- github
- leetcode
- Jetpack
- ReactiveProgramming
- ViewModel
- homebrew
- Version
- androidstudio
- git
- livedata
- Android
- IntelliJ
- Java8
- library
- Room
- Kotlin
- FRAGMENT
- sourcetree
- Java
- Algorithm
- rxjava
- programmers
Archives
- Today
- Total
Learn & Run
Mac OS 환경에서 Homebrew를 이용하여 Git 설치하기 본문
목표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Homebrew를 이용하여 Git을 다운로드를 해봅니다. 또한 Homebrew의 사용 이유와 이것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장점이 무엇인지 알아봅니다.
우리는 일반적으로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기 위해서 App Store나 해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하곤 합니다. 하지만 때때로 원치 않는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도 있을 뿐더러 이러한 과정이 귀찮게 느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Homebrew를 사용할 경우 이러한 문제를 손쉽고 깔끔하게 해결해줍니다. Homebrew는 프로그램을 설치, 삭제, 업데이트할 수 있는 강력한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입니다.
1. Homebrew 설치
- 아래 사이트에 접속하여 설치하도록 합니다.
- brew.sh/index_ko
2. 문구 확인하기
- 아래와 같은 문구를 복사하여 터미널에 붙여넣기 한 후 입력하면 자동으로 설치됩니다. (사이트에 명시된 문구를 이용하도록 합니다)
- /bin/bash -c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HEAD/install.sh)"
3. Terminal을 실행하여 Git 설치하기
-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Git을 쉽게 설치할 수 있습니다.
4. Config 설정하기
- git config-- global과 같은 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설정합니다.
- 이것을 통해 작업중 요구되는 사용자 정보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Collaboration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Sourcetree - Reset의 다양한 옵션 사용해보기 (0) | 2021.01.07 |
---|---|
Git & Sourcetree - 수정사항 취소하기 (0) | 2021.01.07 |
Git & Sourcetree - Git에서의 Working Copy와 Index (0) | 2021.01.06 |
Git & Sourcetree - Sourcetree를 사용하여 버전 만들기 (0) | 2021.01.06 |
Git & Sourcetree - Sourcetree를 사용하여 Repository 만들기 (0) | 2021.01.05 |